Top 5 기본 피아노 연습 교재 (베이어, 하농, 체르니 에튀드, 부르그뮐러, 소나티나) / 세계 통합 음악 자격증

  • HOME
  • News
  • Top 5 기본 피아노 연습 교재 (베이어, 하농, 체르니 에튀드, 부르그뮐러, 소나티나) / 세계 통합 음악 자격증

세계 통합 음악 자격증 협회

저희는 세계 통합 음악 자격증 협회입니다.
오늘은 피아노 기초 연습을 위한 교재들에 대한 개요와 주요 특징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피아노 검정 응시는 여기에서


베이어 (Beyer)

“베이어”로 널리 알려진 이 교재는 1851년경 독일 음악가 페르디난트 베이어가 클래식 피아노를 배우는 초보자를 위해 만들었습니다. 일본에서 가장 잘 알려진 피아노 교재 중 하나이며, 오랫동안 피아노 입문서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베이어 교재는 총 106개의 연습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아동용과 성인용 표준판 두 가지 버전으로 나뉩니다. 아동용은 한 손으로도 연주할 수 있도록 단순화된 곡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연습곡들은 난이도가 점차 상승하여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테크닉을 익히고 클래식 음악의 기초 감각을 쌓도록 돕습니다. 19세기에 만들어져 다소 구식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초보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입문서로 여전히 많이 활용됩니다. 올바른 손 자세, 손가락 번호, 편안한 자세를 강조하여 손의 피로를 줄이는 데 중점을 둡니다. 오른손만 사용하는 연습과 양손 연주 연습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베이어를 가장 쉬운 교재로 여기며, 보통 106개의 연습곡을 3년 정도에 걸쳐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베이어를 마친 뒤에는 소나티나, 체르니 에튀드, 부르그뮐러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일부 베이어 곡은 다른 교재보다 난이도가 높은 편이므로, 개인의 목표와 필요에 따라 교재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천 대상:

  • 피아노를 처음 배우는 초보자

  • 독학하는 학습자

현대 교육 도구로서 약간 한계가 있지만, “서브 베이어(Sub-Beyer)”와 같은 신판이 출간되어 기존의 장점을 살리면서 단점을 보완하고 있습니다.

피아노 검정 응시는 여기에서


하농 (Hanon)

이 기술 연습서는 19세기 음악가 샤를-루이 하농이 작곡했습니다. 반복되는 손가락 패턴으로 손가락 힘과 민첩성을 기르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손가락 연습 외에도 “코드 하농”, “스케일 하농” 등 다양한 변형이 있어 여러 연습 상황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농은 피아노뿐 아니라 기타, 베이스, 재즈 피아노 등 다양한 악기에서도 응용될 만큼 범용성이 높습니다.

하농은 서문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양손의 다섯 손가락이 모두 균등하게 훈련된다면, 피아노를 위한 어떤 곡도 연주할 수 있다.”

기계적이고 단조로운 연습이지만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 양손의 동일한 움직임으로 손가락 힘을 고르게 발달

  • 일정한 템포로 지구력 향상

  • 반복 연습으로 강한 타건과 이완 유지

각 페이지에는 연습 목적이 설명되어 있어 어느 손가락에 집중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단점:

  • 대부분 흰 건반 위주 연습 (스케일 연습 제외)

  • 잘못된 자세로 하면 손가락, 손, 손목 부상을 초래할 수 있음

하농 연습곡은 번호로만 구분되며, “Hanon No.1”, “Hanon No.2” 등 유튜브에서 프로 연주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단조롭지만 창의적으로 연습하면 효과가 큽니다. 눈을 감고 손가락 이완에 집중하거나 변형 연습을 하는 식입니다. 구문이 반복적이어서 초급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피아노 검정 응시는 여기에서


체르니 (Czerny)

오스트리아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칼 체르니가 편집한 이 교재는 독일 클래식의 거장 베토벤의 제자로서 시창 능력 향상에 뛰어납니다.

체르니 연습곡은 난이도가 점차 상승하여 일상 연습에 적합하며, 테크닉과 시창 능력을 함께 키울 수 있습니다. 하농과 달리 코드가 포함된 곡이 많아 다양한 음악적 표현과 기법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주요 작품집:

  • Op. 599 (초보자를 위한 실용적 방법)

  • Op. 849, Op. 299, Op. 740 등
    Op. 599가 가장 기초적이며 난이도는 점차 상승합니다. 자신의 실력에 맞는 레벨을 선택하세요.

연습 설명이나 제목이 따로 없지만, 악보 기호와 지시사항을 분석하며 작곡가의 의도를 이해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철저히 연습하면 베토벤 작품과 닮은 점도 발견할 수 있어, 단순한 테크닉 이상의 음악적 성장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피아노 검정 응시는 여기에서


부르그뮐러 (Burgmüller)

독일 작곡가 프리드리히 요한 프란츠 부르그뮐러가 만든 교재로, 총 25곡이 리사이틀이나 콩쿠르에서 자주 연주되어 인기가 많습니다.

특히 초등학교 여학생들이 학교 쉬는 시간에 배우거나 연주했던 곡들이 많아 친숙합니다.

곡들이 난이도 순서로 배열되어 있지 않고 다양한 고전적 피아노 구문과 기법을 포함하고 있어, 자신이 좋아하는 곡부터 시작할 수 있습니다.

“에튀드”라 불리지만 각각 완성된 음악 작품이며, 다음과 같은 요소를 강조합니다:

  • 표현력과 음악성 발전

  • 페달 사용법과 터치 컨트롤

  • 멜로디와 반주의 균형

  • 템포와 다이내믹 해석

멜로디가 손을 바꾸어 가며 연주되므로 새로운 음악 패턴과 균형 감각을 익힐 수 있습니다.

수록곡 목록:
라 캉듀르 (순수함), 아라베스크, 파스토랄, 쁘띠 레위땅, 이노센스, 프로그레스, 클리어 스트림, 그레이스, 헌트, 텐더 플라워, 더 웨그테일, 페어웰, 콘솔레이션, 라 스티리에느, 발라드, 어 리틀 라멘트, 더 채터박스, 앤자이어티, 아베 마리아, 타란텔라, 엔젤스 보이스, 바르카롤, 더 리턴, 더 스왈로우, 라 슈발레레스크 (기수)

피아노 검정 응시는 여기에서


소나티나 (Sonatina)

피아노 교육에서 또 다른 널리 쓰이는 교재입니다. 대부분의 학생이 베이어와 부르그뮐러를 마친 후 소나티나로 넘어갑니다.

“소나티나”는 “작은 소나타”라는 뜻으로, 정규 소나타보다 기술적 난이도가 낮고 길이가 짧아 중급자 입문용으로 적합합니다.

예술적인 면모와 함께 테크닉과 표현력 모두를 강조하며, 대부분 3악장(발단, 전개, 재현)으로 구성되어 음악 구조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대규모 손 움직임과 옥타브 확장으로 손 유연성, 손가락 간격 조절, 키보드 인지를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훈련할 수 있습니다.

제목이 없어 악보 기호 해석과 지시사항 이해가 필수적이며, 많은 학생이 연주 전에 유튜브 공연 영상을 참고합니다.

곡에 익숙해지면 메트로놈 연습으로 리듬 감각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나티나는 나중에 더 긴 소나타를 연주할 수 있는 탄탄한 기반이 됩니다.

피아노 검정 응시는 여기에서


결론

이 개요를 통해 피아노 초보자를 위한 5가지 기본 교재—베이어, 하농, 체르니, 부르그뮐러, 소나티나—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교육 교재는 피아노뿐 아니라 기타, 베이스, 드럼, 우쿨렐레 등 다양한 악기용이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한 권의 교재에 깊이 몰입해 완벽히 익히는 것입니다.

대충 연주하고 빨리 넘어가기보다, 표현, 감정, 손가락 운지법, 반복과 익숙함에서 오는 편안한 컨트롤을 충분히 이해하며 연습하세요.

여기 소개한 다섯 교재는 모두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효과적인 초급자용 교재입니다.
어느 교재부터 시작하든, 깊고 의도적인 연습을 하시길 권장합니다.

피아노 검정 응시는 여기에서